1. Overview
1. 테스트 배경
(a) 배경
Video to 3D 결과물 중 실패 케이스가 많았다. 사용자들이 촬영 가이드를 잘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가정을 했다. 전용 촬영앱을 만들면 실시간으로 가이드를 노출시키기 쉬워진다. 그래서 일반 동영상 촬영보다 촬영앱으로 찍으면 결과물이 더 안정적으로 잘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했다.
(b) 테스트 진행 목적
[일반 동영상 촬영 VS 촬영 전용앱]
촬영 가이드가 사용자들에게 얼마나 잘 전달 되는지를 비교한다. 이어서 그 결과물에 어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최종 평가한다. 그리하여 촬영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입증한다.
(c) 목표
어떻게하면 사용자가 촬영 가이드를 잘 따라서 좋은 결과물까지 만들어낼 수 있는지 방법을 모색한다.
2. 진행 방법
테스트 기간 : 2023.05.09 ~ 2023.05.31
1) 촬영앱 테스트 참여자 집계
테스트 기간 동안 촬영앱을 사용한 전체 사용자 수 : 360명
2) 결과물 비교 대상 선정 방식
촬영앱과 일반 동영상 촬영 결과물들 중 일부를 60개씩 랜덤으로 선정했다.
실제 사용자들이 생성한 모델 결과 데이터들 중 총 120개의 샘플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비교 평가를 진행했습니다.
3) 결과물 비교를 위한 절대 평가 기준
1. 모델링 최종 결과물 퀄리티 평가
2. 촬영 가이드 수행 평가 (촬영 조건 및 환경 충족 여부)
4) Survey 데이터 추가 수집
참여자 대비 후기 제출 비율 29.4%
(응답자 수 15명)